top of pag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Jeopardy?: COVID-19 Pandemic and the Failure of WHO’s Early Response

(Eng. & K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Jeopardy?

: COVID-19 Pandemic and the

Failure of WHO’s Early Response


Jiho Kim



2020 has been a burdensome year for every single person in the entire world. No one could have suspected that the story of ’the mystery pneumonia from Wuhan,’ which made only a fraction of BBC Asia News, would eventually become ‘the main headline’ throughout the year. Although I’m assessing it in hindsight, I wonder whether the world would have still suffered this much from COVID-19 if each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had worked together swiftly and effectively. For this reason,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write about how and why the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failed to tackle COVID-19 in its early stages, and also offer a suggestion on w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should look like in the future.


Almost one year has passed since the first supposed case of COVID-19 was reported. It is statistically shown that COVID-19 is more than just ‘alarming’ when it comes to its severity; none of the outbreaks that happened in the last decade came close to the damage done by COVID-19. This is why some scholars are comparing this pandemic to the Spanish Flu in 1918. Although the numbers show that the Spanish Flu was much more catastrophic than COVID-19,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were neither strategic quarantine measures nor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at could supervise the situation. Moreover, we have to remember that we are yet to make a breakthrough on COVID-19 vaccines, putting further concerns when dealing with the contemporary pandemic.





Before assessing the WHO’s response to COVID-19, let me demonstrate how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ackle novel diseases in general. In order to detect and deal with current and future outbreaks, the WHO sets the international health agenda within the UN system, provides response guidelines, gives policy suggestions, and conducts health monitoring across the member states. Especially after the outbreak of Ebola in West Africa in 2015, there has been a call for further integration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funding, and scientific response. In this regard, the WHO developed ‘WHO R&D Blueprint’; this mechanism is supposed to allow the institution to utilize R&D programs to better cope with future outbreaks as well as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disease response of its member states. Apart from the technological response measures, the WHO can also implement IHR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a consultation on health policies of each member state. It includes the Global Outbreak Alert and Response Network (GOARN), Risk Assessment, Biorisk Management, Risk Communications, and supports the national legislation. Simply said, think of the IHR as the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that supervises the entire globe.


Then what sorts of responses did the WHO implement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VID-19 dispersion? The first case of COVID-19 was reported to the WHO on December 31st, 2019. It took a little less than two weeks for the organization to disperse the comprehensive guideline to its member states, around January 10th and 12th. The response team arrived in Beijing a month later, on February 16th. Comparing this to the recent Ebola Outbreak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DRC) in 2018, the early response of WHO was significantly slower. Back in 2018, it only took eight days for the WHO to respond and the first batch of emergency response supplies to arrive in the troubled region. Of course, COVID-19 was much trickier to research because of its vast pace of mutation. Also the unsuspected ‘non-symptomatic infections’ were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late response. However, it still does not rationalize the fact that it took six weeks for the WHO response team to arrive in Beijing.


Some people try to shift the responsibility for failing to respond to the WHO. They alleged that China did not report to the WHO properly in the early stages to avoid being stigmatized as ‘the main culprit of spreading COVID-19,’ and that the Director-General of the WHO connived this out of the fear that China would reduce its allotment to the WHO, thereby accusing the international institution of its fundamental root of fairness,. This is why Donald Trump,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filed in a document of withdrawal from the WHO in July earlier this year. Nevertheless, this has become uncertain whether the US will actually withdraw from the organization next year as candidate Joe Biden won the 2020 US Presidential Election. On top of that, the WHO was also heavily criticized by multiple countries and the media for causing confusion among the public. The Comprehensive Guideline published in March, which called on for its member states to follow, stated that ‘only those who have been diagnosed or has suspected symptoms are recommended to wear facial masks,’ only to be revised three months later as ‘all persons are advised to wear facial masks when they are out of their homes’. In fact, the Korean CDC formally apologized for unintentionally inducing the general public into confusion by conveying the WHO’s mask guidelines – the version before being revised – without thorough consideration. Although WHO Director-General Dr. Tedros expressed his resentment on the criticism, saying that the organization was shrewd and efficient in its early responses before declaring COVID-19 as an International Health Crisis, it seems like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S are still discontent.


So, is the WHO’s early response being evaluated as ‘a failure’ because it has lost its imparity a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by responding accordingly to the interest of the Chinese government? Personally, I do not believe the allegation because they simply have no decisive evidence. Yes, China is the second-largest country (after the US) that pays an allocated fee of approximately $57M, which consists 12% of the entire funding the institution receives from its member states. But does this directly relate to the ‘supposed back-scr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WHO and the Chinese government? Not likely. Rather, wouldn’t President Trump’s decis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threaten it from the roots, as the US is paying the share double of what China was paying? Although there are reports that Director-General Tedros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China when he was serving as the Minister of Health / Foreign Affairs at the Ethiopian government and when he was running for the Director-General of WHO, there is no clear evidence to prove the accusations. I believe that the international society should focus on where the water has already spilled as defeating COVID-19 is the first and the most urgent matter.


Here, another question can be asked– would it be wise to shift all of the responsibility of failing to stop an international health crisis on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 personally think that this crisis does not come from the ‘inevitable systematic fallaci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ather, it is the protectionist, selfish policy of individual state governments which contributed to the failur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two major superpowers, the US and China, are accountable for this. China is accountable because the government did not report to the WHO about the coronavirus case in Wuhan in a timely manner, and also did not authorize the WHO response team to enter the province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virus. It has been almost a year since the first case was reported, and it seems ironic that nobody can get access to the Wuhan Institute of Virology nor the Wuhan South China Seafood Market, only to rely on the statistics and research material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s provided. Additionally, the dataset is even more unreliable as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punishing those who spoke against the statistics or how the government is containing the virus, including doctors and even influential chaebols. Lastly, China utilized the international health crisis and used it politically to their advantage; they passed the Hong Kong National Security Law within a blink on June 30th - in the midst of the pandemic, when the international society was more focused on dealing with the virus rather than the sovereignty and human rights issues in Hong Kong - strengthening the ‘One China Policy’.


The U.S. also bears responsibility as much as China does. That is, the superpower also failed to serve the role of the most powerful country in the world, which is to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Trump administration spent most of the time degrading the WHO and Chinese government rather than focusing on containing domestic cases in the early stages. Later, he even filed in the document of withdrawal from the WHO, calling the institution a ‘Puppet of China,’ which was extremely inappropriate and ill-timed, considering that the pandemic was not going to end in any nearby future. President Trump also told the American citizens that there’s no serious need to wear facial masks in the early stages of the spreading, which was exactly the opposite of what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s recommended. This eventually led to the failure of containing the virus effectively.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eventually reversed his stance on wearing facial masks after four months into the pandemic, in July - when the first wave was reaching its peak. His ignorance towards the health sector was also depicted through policy decisions. For one, he attempted several times to defund the CDC, starting shortly after he was elected as President in 2016. Even though the US Congress tried to stop him from making the cuts, the CDC research personnel residing in China was reduced to a third, right before the first case of COVID-19 was reported.


President Trump’s decision to loosen the quarantine early also attributed to the upsurge in daily cases. The governor of New York, Andrew Cuomo, who disapproved of the President’s order to loosen the quarantine at the time for the sake of the lives of New York citizens, is still being politically targeted by Trump. He threatened the Governor that ‘there will be no vaccines distributed to the State of New York’ because he did not listen to him a few months ago. Through this, I can summarize that the President of the U.S. is using the pandemic to defame and accuse the WHO and the Chinese government, as well as to praise himself. He referred to himself as a ‘blessing’ for testing positive for COVID-19, and used the pandemic to attack political enemies within the country. No concern for the American citizen was to be seen. One thing he had done well was making fine ground for pharmaceutical enterprises to research and develop the vaccine for COVID-19, but the U.S. seems to have lost its momentum – or the ‘golden time’ – to contain the virus,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untry is breaking records of new daily cases every single day, I wonder if all these sacrifices would have still been needed if the US had cooperated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succeeded in containing the virus in its early stages. Hence, neither the US nor China has shown a respectable response as global superpowers.


What shoul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Post-COVID era look like? So far, I found the main reason for the failure of containing the virus in the selfish actions of the individual governments. Nevertheless, it is not enough for us to merely cry out ‘the governments should work properly’ if we want to win through the obstacles of a global scale which will definitely hinder our lives in the near future. Although it has not fallen out completely, the system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itself has certainly eroded over the last decade. Here, the role of the governments will play a crucial role in restoring the trust that has been lost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Stewart M. Patrick, an international institution expert, wrote in his column ‘When the System Fails,’ that ‘it is natural for individual states to opt for nationalist agendas in the midst of an international crisis, when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lacking so much trust.’ Moreover, Dr. Robin Niblett, a British specialist in international relations, also discussed the matter in a similar tone by saying ‘it is actually profitable and economical for states to implement selfish policies under international crisis – what the states should do in this circumstance, however, is to realize that this pandemic is eventually going to affect their economies and choose the ‘profitable’ polic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call for the participation of other states, and give an attempt to seek substantive ways for real cooperation.’ I absolutely agree with the idea; if the initial mistake came from the selfishness of the individual governments, couldn’t we channel that logic towards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t? Furthermore, I believe that the ‘selfish’ recognition of the need to work together can also lead to fixing the WHO. There will be more fundings so the WHO R&D Blueprint and World Health Monitoring can be better facilitated, the IHR can enhance the binding force and its effectiveness, and a voluntary helping hand from the member states within the process of sending a response team or emergency supplies. With this realized, we will be ready to face future international crises once we take care of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19 대유행과 WHO의 초기대응 실패:

국제협력의 현 주소는 안녕하십니까


김지호



2020년은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한 해가 될 것 같다. 1월 초, BBC의 아시아 면을 작게 장식했던 ‘중국에서 발생한 원인불명의 폐렴’이 1년 내내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최악의 질병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을 거라고 생각한다. 코로나19가 발견된 지 근 1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는 어느 정도일까? 존스 홉킨스 의대 코로나19 리소스 센터에 따르면, 11월 14일 현재 확진자 수는 전 세계를 통틀어 5350만 명에 육박하고, 사망자는 130만 명에 이른다. 지난 10년 간 발생했던 전염병 대유행 사례와 비교했을 때 견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수치이며, 따라서 혹자는 1918년 스페인 독감과 2020년 코로나19를 비교하는 경우도 있다. 스페인 독감 대유행 당시 수치가 숫자 상으로는 훨씬 심각해보이지만, 제대로 된 방역 체계 및 국제협력 시스템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던 100년 전의 상황을 고려해보았을 때, 현재의 상황이 훨씬 더 심각한 수준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아래 도표 참고). 결과론적인 이야기지만, 각국과 국제기구의 원활한 협력을 통해 코로나19의 초기 대응이 더 잘 되었더라면 이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고통과 불편을 겪지 않아도 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 내지는 안타까운 마음이 있다. 따라서 이번 칼럼에서는 WHO (세계보건기구)의 코로나19 초기 대응 실패의 이유를 알아보고, 책임은 WHO와 각국 정부 중 누구에게 있는지 따진 뒤, 국제협력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WHO의 코로나19 대응을 평가하기 전에, 해당 기구가 일반적으로 신종/재출현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세우고 있는 전략에 대해 알아보자. WHO는 국제보건의제를 설정하고, 다양한 보건 규범 등을 확립하며, 각국에 관련 정책을 제시하는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2015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사태에 대응하면서 전염병 발생 시 빠르고 효율적인 국제협력과 과학기술을 적극 활용한 대응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면서, WHO는 추후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전염병에 대한 대응책으로 ‘WHO R&D 청사진’을 개발했다. 2018년 이후로는 현존하는 전염병 뿐만 아니라 등장할 가능성이 있는 신종/재출현 감염병에 대한 R&D 투자를 늘리기도 했다. WHO는 기술적인 대응책 마련 이외에도 정책적 협력을 위해 IHR(국제보건규칙)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각국의 보건 운영 현황을 공유하고, 감염성 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며, 전염병 확산 시 각국이 따라야 할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전 세계의 보건 상황을 관리하는 세계질병관리본부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작 코로나19의 초기 대응 때는 이렇게 감염병의 대확산을 막기위한 장치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장치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과연 어떤 이유 때문에 이런 결과가 발생했는지 지금부터 논해보자.


그렇다면 왜 WHO에서 이번 코로나19의 최초 발생 이후 초기대응에 실패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일까? WHO가 가장 먼저 코로나19에 대한 보고를 받은 것은 2019년 12월 31일이었다. 그 후 공식 문서를 통해 포괄적인 대응 가이드라인을 회원국들에게 배포한 것은 2주 정도가 지난 1월 10일에서 12일 사이였고, 첫 사례가 보고된 우한 지역에 조사단을 파견해 중국 보건 당국과 합동 조사를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1달이 더 지난 2월 16일이었다. 코로나19 등장 이전 가장 최근의 감염병 유행 사례였던 2018년 콩고민주공화국(DRC)에서의 에볼라 바이러스 당시 첫 사례 보고 날짜인 5월 3일 이후 조사단 파견, 첫 응급 구호 물품이 도착하기까지 약 8일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늦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코로나19는 기존에 알려진 바이러스보다 빠른 변이 속도와 무증상 감염이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가 있어 일반적인 경우보다 대응이 늦었을 수 있지만, 거의 6주가 지나서야 발원지에 조사단을 파견한 것은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초기 대응이 사실상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더해, WHO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3월에 제시한 가이드라인에서 ‘마스크는 확진 판정을 받거나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에만 착용하면 된다’고 말했다가 이후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권고 사항을 변경하는 바람에 대중들의 혼란이 가중되었다는 평가도 받는다. 실제로 한국 질병관리청은 코로나 발생 초기에 WHO의 ‘마스크 착용은 유증상자와 확진자, 의료진만 해도 된다’는 가이드라인을 그대로 전달했다가 부적절한 조치였다며 사과한 바 있다. 테드로스 WHO 사무총장은 WHO가 코로나19를 국제보건위기 상황으로 선포하기 전까지 발원지에 조사 팀을 보내는 등 빠르고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고 억울함을 표했지만,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의 불만감을 해소시켜주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코로나 19 초기 대응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WHO에 전가하고 있다. 중국이 전염병 확산의 원흉으로 취급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WHO에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고, 중국의 분담금 축소를 우려한 WHO의 사무총장이 이를 묵인했다는 주장을 펴면서 해당 국제기구가 세계를 위한 보건정책을 펴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구심을 제기한 것이다. 실제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월 ‘중국편향적인 WHO’에 남아있을 수 없다며 탈퇴서를 제출하기도 했는데, 11월 미 대선에서 바이든 후보가 당선이 되면서 이대로 내년에 탈퇴를 하게 될지, 바이든 당선인이 취임한 뒤 탈퇴를 철회할 지 불확실한 상황이 되었다. 그렇다면 실제로 WHO는 중국편향적인 대응을 했기 때문에, 국제기구가 가져야 할 공정성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코로나19의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 것일까? 필자는 이 부분에 있어 실제로 확인된 바가 없기 때문에 WHO의 근간이 무너졌다고 보진 않는다. 비록 중국이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은, 전체 분담금의 12%인 5,700만 달러, 우리 돈 약 632억 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부담하고 있긴 하지만 이것이 WHO와 중국 정부의 유착 관계로 이어질 만큼 사무총장을 부담스럽게 할 만한 근거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중국의 2배에 해당하는 분담금을 내고 있던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기구를 탈퇴하겠다고 한 것이 WHO의 근간을 흔드는 행동이 아닐까? 물론 테드로스 사무총장이 에티오피아 장관을 보내던 시절 중국으로부터 많은 자금지원을 받았고, WHO 사무총장 선출 과정에서도 중국 자금의 덕을 보았다는 말들이 많지만, 확실하게 단정지을 수 있을만한 증거가 부족할 뿐더러 현재로서는 이미 코로나19의 확산세가 겉잡을 수 없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현 위기를 먼저 극복하는 것이 주요 과제라고 생각한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번 초기 대응 실패의 책임은 단순히 국제기구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국제적 재난 상황에도 불구하고 각국 정부가 폐쇄적이고 이기적인 정책을 폈다는 것에서 기인했다고 본다. 특히 국제적 위기상황 속에서 가장 앞장서서 재난 극복을 위해 힘써야 할 강대국들인 미국과 중국의 책임이 크다. 중국의 대응부터 살펴보면, 중국은 코로나19의 최초 발원지로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WHO에 보고하는 과정이 느렸고, 발생 초기 조사 팀이 베이징에 도착했을 때도 정작 발원지인 우한에는 진입하지도 못하게 했다. 1호 사례가 보고된 지 근 1년이 다 되어가는 동안 바이러스 유출 의혹도 일었던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와 최초 진원지로 알려진 우한 수산물 시장에 대한 정보를 중국 정부의 이야기로만 들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 대목이다. 또한, 중국 정부의 미심쩍은 대처를 비판한 의사와 부동산 재벌에게 처벌을 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전 세계의 전문가들이 중국의 데이터를 더 믿기 힘들게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국제 정세가 혼란스러운 틈을 타 6월 30일에 홍콩 국가보안법을 발효시키면서 국제보건위기를 정치적으로 활용하고 ‘하나의 중국’ 체제를 강화시켰다.


미국 정부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초기 대응 실패에 큰 책임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코로나 확산 초기부터 WHO와 중국에 모든 책임을 전가하면서 미국 국내의 코로나19 통제보다는 국외의 개체를 비난하는데 시간을 할애했다. 결국 WHO를 ‘중국의 꼭두각시’라고 부르기까지 하면서 무책임하게 탈퇴서를 제출해버렸다. 그러면서 미국 국민들에게는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고 홍보했는데, 이는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권고에 반하는 것이었고, 결과적으로는 미국 국내의 코로나19 초기 진압에 실패하는 주요인이 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코로나19 1차 대유행이 정점을 찍었던 7월이 되어서야 공식 석상에 마스크를 쓰고 나타났다. 보건 분야에 대한 무관심은 정책적으로도 나타났는데, 대통령이 된 직후부터 CDC의 예산을 감축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였고, 미 의회에서 지속적으로 이를 저지하기 위해 나섰지만 결국 해외에서 연구 및 보건 정보 수집을 진행하던 인력 중 중국 내 인력이 3분의 1로 축소되었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른 봉쇄 해제도 미국 내 확진자 수의 급증에 한 몫 했다. 당시 뉴욕 주 시민들의 안전이 우선이라며 트럼프의 봉쇄 해제 명령에 정면으로 맞섰던 앤드류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지금도 트럼프 대통령의 ‘백신을 상용화해도 뉴욕 주에는 보내지 않겠다’는 협박을 들으며 정치적 보복을 당하는 형세다. 이 외에도 자신의 코로나19 확진은 ‘신이 내린 은총’이라고 말하는 등 미국 국민의 건강을 우선시 하는 것이 아니라 코로나19라는 세계적 재난을 매개로 대외적으로는 WHO와 중국에 모든 책임을 돌리고, 대내적으로는 정적을 비난하거나 자신의 업적을 치켜세우는 정치적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 그나마 잘한 것이 있다면 다양한 제약회사들이 백신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이미 골든타임을 놓쳤고, 매일 일일 신규 확진자 수의 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중이라는 것을 고려했을 때 애초에 국제공조를 통한 초기 대응에 성공했다면 이럴 필요도 없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이처럼 미국도, 중국도 초강대국의 지위에 걸맞는 대처를 전혀 보여주지 못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제협력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지금까지 필자는 이번 코로나 대유행 사태의 주 원인이 국제기구 보다는 각국 정부에게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우리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당면할 또 다른 국제위기상황들과 갈등들을 지혜롭게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정부들이 똑바로 일해야 한다’라고 외치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다. 각국이 모여 국제협력을 모색하는 대화의 장인 국제기구의 기능도 완전히 실패한 것은 아니지만 많이 퇴색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무너진 신뢰를 다시 쌓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각국 정부의 역할이다. 국제기구 전문가인 스튜어트 M. 패트릭은 ‘When the System Fails’라는 칼럼에서 ‘신뢰가 떨어진 국제사회에서 각국 정부가 국제위기에 대한 대처로 국수주의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자연스러운 행동’이라고 말했다. 더해, 영국 왕립 국제 문제 연구소 이사인 로빈 니블렛도 ‘공통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개체와 협력을 취하는 것이 아닌 자국 중심적으로 정책을 편 것은 사실 경제적인 조치’라며 같은 논조를 펴면서, ‘각국 정부들이 할 수 있는 조치는 코로나19 대유행이 단순 보건 문제가 아닌 세계경제에 막대한 타격을 입힐 수 있는 문제라는 것을 인식한 뒤에, 국제공조를 호소하는 합동 성명문을 발표하고, 실질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필자도 이에 동의한다. 현재 초기 대응 실패가 각 정부의 경제적 판단에 의한 이기심에서 비롯되었다면, 같은 논리로 국제공조의 필요성을 역설할 수 있지 않을까? 나아가, 이번 사태를 기회로 삼아 부족한 WHO의 예산을 늘려서 - 각국의 부담감은 커지겠지만 제 2, 제 3의 코로나19 사태가 가까운 미래에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국제공조에 대한 인식이 두터워질 것이라 생각한다 – R&D와 세계 보건 현황 모니터링이 더 잘 될 수 있도록 하고, IHR의 구속력과 실효성을 강화하며, 조사단 파견 또는 구호물품 전달 등의 과정에서 각국들의 자발적인 협조를 이끌어 낸다면 추후 발생할 수도 있는 국제 위기 사태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조회수 1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תגובות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