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OVID-19 Vaccine; It Should be a Public Good (Eng. & Kor.)






COVID-19 Vaccine; It Should be a Public Good


Hyun Ji Min



The coronavirus is affecting people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South Korea. It first broke out in Wuhan, Hebei Province, China in early November last year, and spread all over the world. Currently, 56,202,247 confirmed cases globally, and the number is continuously increasing. Now, many people are talking about a vaccine for the coronavirus. However, we need to wait a little longer to see whether the vaccine gets fully developed and distributed, and if the pandemic will finally end. Moreover, if the vaccine is fully developed,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arise. Who should get vaccinated first? Is it appropriate for everyone in the world to treat vaccines as a public goods? Should the vaccine become a public good? Why should it be considered as a public good? Additionally, what would happen if the vaccine was not considered as a public good? Lastly, I would like to discuss the impact it has when done so to the Korean society.

First, looking into the concept of public goods, they are goods in which the consumption of one person does not cause a decrease in the consumption of another person. Public goods are non-competitive and non-exhausting. To elaborate, it is difficult to exclude members of society from the consumption of public specific goods, and it is not competitive. Thus, it is not necessary to compete with each other for that consumption. Specifically, Keynesian economist Paul A. Samuelson first presented the concept of "collective consumption" as a concept to compare to private goods in his paper ‘The Pure Theory of Public Spending.’ Here, the term "public goods" refers to goods that are non-competitive in terms of consumption and that cannot be excluded in terms of supply.

Now, let's look at how the COVID-19 vaccine development is progressing. First of all, Russia's domestically-produced vaccine, which was rumored to have been developed successfully, is expected to become true. Sputnik V, the world's first COVID-19 vaccine developed by Russia and approved by the government, will be produced in Korea. The Russian national wealth fund RDIF, which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the vaccine, reported that a Korean biotech firm Zierlapa declared that they will only produce 150 million doses of Sputnik V vaccine per year. Production of vaccines will begin in December and will be supplied to the world in January 2021. Meanwhile, the CEO of Deutsche Bioentech, who is developing a new type of COVID-19 vaccine with the U.S. pharmaceutical company Pfizer, is confident that his vaccine will end the COVID-19 pandemic. Pfizer Biotech recently announced that vaccines under the third-phase clinical trials showed preventive effects of more than 90 percent, raising hopes around the world.

President Moon Jae-In called for a one-step forward of cooperation in the health sector between ASEAN 10, Korea, China, and Japan, emphasizing the need for collaborative efforts in developing the vaccine, and also fairly distributing them among states. In particular, President Moon emphasized the ‘Corona ASEAN Response Fund’ and the "Mandatory Medical Supply Stockpiling System" as meaningful results. He also said that "There are concerns that the pace of economic recovery between countries will vary greatly after Corona. Let's gather wisdom and cooperate to find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growth plan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ecretary-General reiterated on the 13th (local time) that the COVID-19 vaccine should be made a public good. He also stressed, "In order for all countries to benefit from this scientific achievement, urgency and innovation should be applied equally." Like this, the race to the vaccine is almost at its end, and the heads of stat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strongly suggesting the vaccine to be made as a public good. In addition, at the Paris Peace Forum, the German Foreign Minister’s argument, "The COVID-19 vaccine should be made a public good and distributed fairly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ained strength. "It is integral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even the poorest countries can approach vaccines in the same way," said officials from the forum.

So, as multiple sources suggest, what impact will it have on the Korean society if the COVID-19 vaccine is designated as a public good? Let's look at the opinions of experts and find out what the comments say in papers, economically. If the COVID-19 vaccine becomes a public goo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will b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ongoing pandemic. In addition, I believe that the Corona Pandemic situation can only be solved through global cooperation. In contrast, Conversely, if the vaccine does not become a public good, developed countries will monopolize the COVID-19 vaccine, causing prices to soar. Frankly speaking, the origin of the COVID-19 was China, however, it was the people that were coming in and out of the country who spread the virus across the continents. Therefore, the poorest countries will not be abl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if the vaccine becomes a competitive good. Moreover, I think quick action is more important than a profit debate in each country, given that treatment is becoming more difficult as the virus mutates recently. Only by making the vaccine a public good will the situation be solved. Moreover, unless vaccines are supplied as public goods, the virus will continue to spread in the poorest countries and eventually spread worldwide again. By designating vaccines as public goods, all countries can internationally standardize their infectious disease monitoring systems and promote public health. For these reasons, the vaccine should be designated as a public good.

On the other hand, the non-competitive nature and partial exclusion of intellectual property of public goods may cause tension between these two attributes. Romer saw the attributes of such intellectual property as incentives for the production of new ideas, Also, maintaining these incentives will encourage the efficient dissemination of them as well as create an unavoidable tension between the willingness to use existing knowledge. He explains that it is a choice of a particular society to make efforts to creat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mid such tension. He also pointed out, "The government should be as careful and responsible as when they implement monetary management and tax policy to manage tensions well among various factors and to share the benefits of knowledge growth." As pharmaceutical companies developed vaccines by themselves, they could make several times more profit if they sold the vaccines to the customers, but they would have to produce them as public goods, despite the loss of profits. That is, they must give up the opportunity to monopolize one of the incentives by revamping vaccines - something that did not exist in the world. If a vaccine developer reveals his intention to designate the vaccine as a public good for the whole world in a pandemic situation, it would be the best outcome. However, if I were a vaccine developer, I would like to receive a fair amount of compensation for the value of time and money spent developing the vaccine. Therefore, as I said earlier, I think that the government should guarantee some profit to the developer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In the end, there will inevitably be a dilemma with designating public goods,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ll have to make efforts to resolve it.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draw up my idea of whether coronavirus vaccines should become unconditional public goods based on what I have researched. Simply put, I think that COVID-19 vaccine should be a public goo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world should work together to solve this situation, as the pandemic is causing massive damage all over the world. For this to happen, vaccines must become public goods, and should be distributed on a fair basis around the world. S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the WHO should be able to prevent viruses from spreading around the world more quickly if the vaccines become public goods. In addition, if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Earth is to be vaccinated, at least seven billion vaccines must be produced and distributed to each and every single one of us. I do not think this is a problem that can be solved by an effort of a single nation. Vaccines are not only difficult to manufacture, but also extremely difficult to store. Since developing the perfect vaccine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it is necessary for the world to build factories all over the world according to the types of vaccines, which will cost billions of dollars. This will only be possible whe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work together to solve the financial problems. In order to get back to the life before COVID-19, everyone must work as one as soon as possible.






코로나19 백신; 공공재가 되어야만 한다


Hyun Ji Min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인이 고통받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지난해 11월 초 중국 후베이성의 우한시에서 발생하여 전 세계에 퍼지게 되었다. 현재 전 세계의 누적 확진자는 56,202,247명으로 계속해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 백신에 대한 이야기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백신이 개발되어 코로나가 종식될 수 있을 것인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런데, 코로나 백신은 공공재가 되어야 할까? 공공재가 되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반대로, 코로나 백신이 공공재로 지정되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시간이 흘러 코로나 백신이 개발되었을 때 공공재가 된다면, 혹은 되지 않는다면 우리 사회에 끼칠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공공재의 개념을 짚어보자면, 공공재란 어떤 사람의 소비가 다른 사람의 소비에 감소를 초래하지 않는 재화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재화의 소비로부터 사회구성원을 배제시키기 어렵고 또한 이의 소비를 위하여 서로 경쟁할 필요성이 약한 재화를 의미한다. 이는 케인즈 학파의 경제학자 새뮤얼슨(Paul A. Samuelson)은 ‘공공 지출 의 순수 이론’에서 사유재(private goods)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집합적으로 소비하는’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비경쟁재로서 공공재의 첫 번째 특징은 ‘구성원 모두가 고갈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다른 사람과 내가 함께 소비한다고 해도 나의 소비와 남의 소비는 경쟁적이지 않다. 반대로 경쟁재는 재화를 구입한 사람들만 그 이익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시장에서 공급되는 대부분의 재화 또는 서비스는 대가를 지불한 고객 만이 그것을 소비할 수 있으며, 공급자는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소비자에게 그 공급을 배제한다. 하지만, 모두가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한 사람의 사용이 다른 사람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 재화일 경우 공급자는 그 공급을 배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재화를 비경쟁재라고 한다.

그럼 이제 코로나 백신의 개발 진행 상황을 살펴보자. 먼저 소문만 무성했던 러시아의 코로나19 백신 국내 생산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러시아가 개발해 세계 최초로 정부 승인을 받은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 V가 우리나라에서 생산된다. 백신 개발을 지원한 러시아국부펀드 RDIF는 한국의 바이오테크 기업 지엘라파가 스푸트니크 V 백신을 연간 1억5천만회 분량만큼 생산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오는 12월부터 백신 생산을 시작해 내년 1월 세계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독일 바이오엔테크의 최고경영자(CEO)는 자사 백신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을 종식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최근 3상 임상시험 중인 백신이 90% 이상 예방 효과가 있다고 발표해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종식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이 보건 협력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백신과 치료제 개발과 공평한 보급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특히 '코로나 아세안 대응기금'과 '필수의료물품 비축제도'는 의미 있는 결과라며, 앞으로 방역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업인의 왕래도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 코로나 이후 국가 간 경제 회복 속도의 차이가 크고 경제 불평등이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며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방안을 찾기 위해 지혜를 모으고 협력하자고 제안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13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공공재가 되도록 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모든 국가가 이 과학적 성취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박성과 혁신을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백신개발은 마무리 단계에 와 있는 상황이고 백신 공공재 논란에 대한 문 대통령과 와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의 입장은 ‘백신은 공공재'라는 것이다. 또한, 파리 평화포럼에서 하이코 마스 독일 외무장관도 코로나19 백신을 공공재로 만들어 국제기구를 통해 공평하게 배분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고 이 주장이 설득력을 얻었다. 또한 포럼에 참가한 각국 인사들은 최빈국조차도 백신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렇게 다양한 곳에서 나온 의견처럼 코로나19 백신이 공공재로 지정이 된다면 우리 사회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전문가들의 의견, 논문 그리고 경제적인 관점을 통해 알아보자. 앞서 언급한 공공재의 특성을 전제로 했을 때, 코로나19 백신이 공공재가 된다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있는 코로나19를 막는데 효율적일 것이다. 국가나 단체가 공익을 위해 제공한 연구비로 얻은 지적 재화는 고갈되지 않고 모두가 사용 가능한 비경쟁재로서의 특징과 제한없이 공급되는 비배제성을 가진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 상황은 전 세계인 모두가 함께 협력해야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반대로 백신이 공공재가 되지 않으면 선진국이 코로나19 백신을 독점하여 가격이 폭등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으로 백신은 경쟁제가 되며, 최빈국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응할 방법이 없어 계속해서 고통받을 수 밖에 없다. 객관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는 중국에서 시작된 바이러스로서 해외 출입국자들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퍼진 것이다. 그런데 최빈국은 물론 많은 국가들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된 바이러스를 막을 수 없었고 백신이 개발되어도 공공재가 아니게 되면 자신들은 이 사태에 대한 책임이 없음에도 이 상황을 해결할 수 없는 어처구니가 없는 입장에 놓일 것이다. 최빈국에서 바이러스가 계속되어 감염자가 불법 체류를 하는 등 타국으로 이동한다면 또다시 바이러스가 확산될 것이다. 더욱이 최근 바이러스가 변이됨에 따라 치료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익을 위한 논쟁보다는 빠른 대처가 먼저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들을 보았을 때 백신을 공공재로 지정해야 한다. 백신을 공공재로 지정한다면 모든 국가들은 국가 내 감염병 감시 체계를 국제적으로 규범화하여 공중보건을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백신을 공공재로서 공급하지 않는다면 코로나 바이러스는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공공재로서 지적 재화가 가지는 비경쟁성과 부분적 배제가능성, 이 두 가지 속성으로 인해 긴장 관계가 발생할 수도 있다. 로머는 이런 지적 재화의 속성이 새로운 아이디어 생산에 대한 인센티브 창조와 이것의 효율적인 보급 장려를 위한 인센티브 유지 및 기존의 지식을 사용하려는 의지 사이에서 어쩔 수 없는 긴장을 유발시킨다고 보았다. 또한 이렇게 유발되는 긴장 속에서 지적재산권을 창조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특정 사회의 선택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 그는 이처럼 여러 요소 사이에서 긴장을 잘 관리하는 것, 더불어 지식 성장을 도모하면서 그것으로 인한 혜택을 널리 공유하는 것이 바로 정부가 통화 관리나 조세 정책 만큼이나 신경 쓰고 책임져야 할 분야라고 지적하고 있다. 백신을 개발한 제약회사의 입장에서는 수백수천배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지만 이익 손실을 감안하고 공공재로 생산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백신 즉, 세상에서 존재하지 않던 것을 새로운 것을 창조함으로써 그에 대한 인센티브 중 하나인 독점할 수 있는 기회를 포기해야 한다. 백신 개발자가 팬데믹 상황에서 전 세계를 위해 공공재로 지정하겠다는 의사를 밝힌다면 최적의 해답이겠지만, 백신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투입된 시간, 돈 등의 가치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고 싶을 것이다. 물론 어느정도 보상은 받겠지만 더 넓은 시각으로 제약회사의 입장을 생각해보자. 제약회사는 최종 결정권자로서 백신을 공공재로 지정하게 되면 이로 인해 입게 될 손실 때문에 고민이 될 것 이다. 때문에 아까도 언급했듯이 정부가 개발자와 제약회사에 어느 정도의 이익은 보장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공공재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딜레마가 발생하게 되고 전세계 국가들은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이 공공재가 되어야 생각한다. 전 세계적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 상황을 전 세계가 협력하여 함께 해결해야 하기때문이다. 전 세계에 공평한 기준으로 백신을 분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WHO와 같은 국제기구도 협력한다면 전 세계에 퍼진 바이러스를 더 빨리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저소득 국가의 사람들도 건강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려면 선진국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한 전 세계 인구가 코로나 백신을 필요로 한다고 전제하면 적어도 70억 개의 백신을 제조하고 배포해야 한다. 이는 결코 한 나라의 노력만으로는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백신은 제조하는 것은 물론 보관하기 매우 까다롭다. 또한 완벽한 백신을 만드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든다. 때문에 세계가 협력하여 백신 유형에 따른 다양한 공장을 건설해야한다. 이는 수십억 달러가 소요된다. 재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기구와 각국의 정부가 서로 힘을 합쳐야만 가능하다. 하루라도 빨리 모두가 코로나 이전의 삶을 되찾기 위해서는 모두가 협력하고 모두가 노력해야만 한다.



조회수 1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